황남빵/Hwangnam Red Bean Bread or Manju Cake

아주 옛날 울산에서 중공업 프로젝트하던 시절, 매주 일요일 저녁부터 금요일 업무끝날때까지는 기숙사에서 지내고 주말마다 서울로 왔다갔다를 했었다. 집으로 오는 비행기를 타러간 울산공항에서 항상 눈을 끌었던게 경주빵 씨리즈였다. (정작 경주는 고등학교 때 수학여행 이후로는 근처도 못가봤다..ㅎㅎ) 보리빵 술빵같은것도 있었던거 같고 황남빵이란 서울 촌놈이 보지 못한 신기한 올드틱한데 아주 달지도 않고 슴슴하게 좋았던 팥빵..

매주 서울 집에 올 때 한박스씩 사와서 맛나게 먹었었다.

그러던 황남빵…여기서 하필 경주 고향집으로 겨울 휴가를 가시는 후배님께 구지 부탁해서 손수 빵셔틀 해주신 분들 덕에 ‘신라의 밤’ 빵맛을 근 20년만에 씨애틀에서 맛보게 되었다.. 🙂 정대야 크게 갚으마..ㅎㅎ

여전히 예전에 한국 & 비수도권에서 프로젝트하던 시절 먹었던 음식 중 기억에 남는게 여전히 몇개 남아았다. 북대전 IC에 있던 묵집이랑, 신성동 게찜, 지금은 세종시때문에 아마 없어졌을 듯한 장기회관 고기집.. 나주곰탕이랑 떡갈비…그리고 사상공단(사실 사상인지 사하인지도 가물…) 가운데 있던 이름 모를 복국집…언제 한번 한국가서 쭉돌면서 먹으러만 다녀도 좋을것같긴한데… 🙂

This Gyeongju – capital of old Shilla Kingdom in Korea – local red bean bread or manju cake was my favorite when I was working at Ulsan in Korea – I have always picked a box of this cake at Ulsan airport on every Friday night’s return flight to Seoul for 3-4 months and missed that since then.

This cake which was in my memory lane for long time still tasted great!

2023.1

Week 1 being Big Red

I personally have never been associated any red in my life.. 🙂 Grown up from the country hates red, and went to both college and MBA where color was blue… and even I worked for company called themselves as Big Blue… 🙂 Maybe the closest one might be magenta.. 🙂

Anyhow wishing my new red life!! 😀

긴장속에서 첫주가 지났다.. 생각해보니 평생을 거의 빨간건 좋아하지 않는 분위기에서 성장 및 교육(학부 -웃긴 이야기지만 정말 지하철역도 없으면서 빨강색이 별로여서 빨강 학교가 사실 친구들도 더 많았고 입학에도 유리한 점이 많았음에도 구지 파랑 학교를 갔다… ㅎㅎ-와 MBA 둘다…) 받고 심지어 회사를 칭할때 파랑색이라 일컫는 회사에서도 생활을 했는데 제대로 빨갱이 물 한번 주욱 적셔 주신다…

2021.11

Pandemic

pandemic

지난 달에 재미있게 열심히 봤던 Netflix의 Pandemic (나 나름 documentary를 좋아함..ㅎ 닥덕이 되어가고 있음..) Flu와 인간의 사투를 보여준다. 한편 이번 Corona outbreak를 보면서 느끼는 점도 많음..

뭐 개인적으로는 이 series를 보면서 – 이미 중국에서도 인구 밀집도가 높고 교류가 많은 대도시가 있는 후베이성과 광둥성에 퍼진순간 이게 이제 최소 아시아 전역으로 퍼지는거는 시간의 문제라는 마음의 준비(?)같은 생각을 하고는 있었다… (물론 한국에서 ㅅㅊㅈ 같은 정신병자 집단들이 나올거라곤 예상을 못했지만서도.. 참고로 ㅅㅊㅈ 미친X들은 -나도 주위에서 이 미친 X들 때문에 너무나 고생한 지인들을 목격한 관계로 – 절대 협력안할거고 숨기기에 급급할 것이기에 다 발본색원해서 아작을 내야한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문제는 면역 치유가 어려운 환자들을 어떻게 치료할지, 그 과정에서 의료진이 어떻게 될찌, 그리고 virus가 아닌 다른 환자 처리는 어떻게 해야할지 인듯하고 여름이 오면서 사그러들지 그리고 과연 온다면 미국에는 언제올것이고 무슨일이 일어날찌가 걱정이다.

나름 2009년에 H1N1 swine flu 난리 났을 때 Mexico에서 outbreak후 최초의 미국 환자가 Mexico갔다 온 Seattle사람이라고 뉴스를 때린지 1달 가량 되었나 싶을때 몸이 안좋아 병원에 갔더니 아주 아무일없다는 듯 너 Flu야 이야기하는 의사를 마주보고 나혼자 패닉하던 기억.. ㅎㅎ

의사: 너 Flu야

나: 혹시 이거 그 H1N1맞나요?

의사: 웅 Washington주에선 그 Flu밖에 유행 안해..

나: 헐!!!!!! 그럼 나 중증센터로 격리 입원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의사: 너 해열제 먹어도 열안내려가고 숨 못쉬면 그럴까야.. 근데 넌 여기를 네가 운전해 찾아왔을 정도라는건 그럴일 없다는 증거이니 그냥 집에서 약먹고 쉬어..-.-; 너같은 애 지금 Washington주에 족히 몇천은 있어..-.-;

이러기도 했던 나라인데 한편 몇년전 Ebola때는 전투적으로 격리+치료로 유입을 막기도 했었다. (근데 문제는 그 때 만든 기구/조직및 제도들을 Trump 행정부가 다 날려버렸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과연 이번 게 미국에 들어오면 어케될지

암튼 서울에 있는 양가 어른 가족들 신경이 계속 쓰이네..-.-; 네이버 뉴스를 보면 참 가슴만 아프다..

Very timely series Pandemic from Netflix. This documentary series has been a good text book for me to see the things happening in China and Korea. This series taught me almost everything on flu and fights against it by human and gave me a good perspective on what is happening now except the stupid cult people spreading the virus in Korea.

I guess now the key is when it will get weaken, if it becomes weaker with summer hit, and if and when it touches US. Reminds me how wide-spread H1N1 swine flu in 2009 went thru US (I was infected!! 😦 ) and how Ebola defense worked in few years ago.

2020.2

 

Family Seoul Tour#2: Paul Bassett Coffee & Sangha Farm Ice Cream

20170812_152746.jpg

Family Seoul Tour#2: Paul Bassett Coffee & Sangha Farm Ice Cream

and the nice rewards given to whom sustained the hard trip on steaming summer day at 1st floor of Microsoft Korea..

흐어…이거 또한 정말 맛졌다..

2017.8

 

할수 있다 그래 할수 있다..

할수있다

(출처 인터넷에 떠도는 사진)

Maybe the most touching & stunning moment of Rio Olympics must be Men’s Fencing Épée final..incredible comeback of consecutive 5 points at match point after self-talking mind controlling .

저 맨탈… 경기는 다 기울었는데도 할 수 있다는 저 맨탈.. 이틀이 지나도 소름이 쫙 돋는다..

2016.8

 

Konglish… :)

20151222_222146.jpg

Because my computers are set default to US & English, some of the Korean sites automatically detects it and convert everything to English.. and this is a failure.. 🙂 Function should be renamed as Description and the button should say “Install” instead of “Installed” – Lost in translation..

아우 챙피해… 나름 국영기관인 산업은행 홈페이지 안그래도 짜증나는 온갖 보안 프로그램 설치 안내페이지인데-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영어로 보여주는 친절신공을 보여주려한듯한데 대박 실패.. “Function”은 “Description”으로 하는게 더 부드러운 듯하고 번역체 말투는 그렇다 쳐도 “설치”버튼은 왜 “Installed”로 나오냐…ㅎㅎ

무슨 번역기 돌렸나 아님 그냥 한영사전 같다 놓고 그대로 썼나.. 그래도 이런거 하면 영어권 번역 업체에 feedback한번 받아야 하는거 아닌가? -_-; 무신 쌍팔년도도 아니고…ㅎㅎ

2015.12

 

 

단말기(휴대전화)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940844&ref=A

 

참나… 이것까지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건가? 나름 한때 4년반간 팠던 우물인 이동통신.. 한국 뉴스를 보니 가관이란 생각이 든다.

th

(사진은 머니투데이 기사에서….)

나의 결론.. 정부는 손 떼라..

결국 단말기 가격의 현실화와 통신사 비용개선이 목적인데 왜 정부가 개입하는지 참나…결국은 정부가 당황했다는 기사도 나오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3&aid=0006115069

당연한 결과 아닌가 싶다..  경쟁이 이제 법으로 제한 되어 있는 상황에 누가 공격적으로 하겠나?  보조금이 없는 선불 폰 제도가 정착되어 있지도 않은 마당에 이런 방식만 강요하다니… 결국 보조금의 압박에서 벗어난 통신사들이 요금제를 바꾸는 결심을 하지 않는한 이건 의도한 대로 절대 안되고 외국에서 주문한 폰만 더 들어올듯 싶다… 아마 그러면 이대로 가다가는 조만간 정부에서 제조사의 출고가를 법제화 할듯??

이럴때 보면 무한경쟁의 시대에 한국이 탄배는 산으로 가고 있다…

전화기나 사서 서울에 팔까?

2014.10

 

Seoul/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Incheon Bridge

WP_20140510_004

WP_20140510_005

WP_20140510_008

11시간의 비행끝에 도착한 인천국제공항..

지는 석양을 바라보며 내리면서 첫발을 밟는데 잠시 울컥… 내가 교황의 사촌이라도 된다면 바닥에 뽀뽀할 기세였음..ㅋㅋ

항상 그렇듯 인천공항 입국장은 붐비고, 처제 가족덕분에 인천대교를 건너 고속도로를 타고 본가 집앞까지 편하게 도착.

인천은 말그대로 상전벽해… 그동안 런닝맨등의 예능프로에서 봤던대로 엄청나게 풍경이 바꿔어버렸구나.. 바다위의 엄청난 다리 인천대교도 있고, 송도는 밖에서 보니 무슨 미래도시인듯… 불과 여기서 어린시절 시골길 구비구비 가던 할아버지 산소있던 곳이 5분 거리구나…

2014.5